본문 바로가기

mac/맥북 개발자 세팅하기

맥북 M1Homebrew 설치하기

Homebrew란?

Git과 Ruby기반으로 개발된 macOS 용 패키지 관리자(애플리케이션)이다.

Apple(또는 Linux 시스템)에서 제공하지 않는 유용한 기능을 제공한다.

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외부링크(해당 사이트)로 접속하여 설치하는 대신 터미널에서 명령어로 필요한 프로그램을 설치, 삭제, 업데이트등을 손쉽게 관리할 수 있다.

다만, 커뮤니티 기반으로 운영되어 패키지의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고 한다.

 

Homebrew 설치하기

https://brew.sh/index_ko

 

Homebrew

The Missing Package Manager for macOS (or Linux).

brew.sh

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아래의 설치 명령어가 있는데

/bin/bash -c "$(curl -fsSL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Homebrew/install/HEAD/install.sh)"

 

이걸 그대로 입력해서 설치를 하고 brew 명령어를 입력하면

아래와 같은 brew 에러가 난다.

zsh: command not found: brew

 

검색을 해보니 소유자, 경로설정(?) 등 다양한 해결방안이 있었는데

초보자의 입장에서 좀 이해하기 어렵기도 하고 터미널에 export PATH=/opt/homebrew/bin:$PATH 를 입력하거나

vi ~/.zshrc 에서 추가해 적으란 말도 있었지만 왜인지 입력한 순간에는 되는 듯(?)싶다가 터미널을 껐다가 들어오니 그대로여서..

다시 알아보았더니 맥북 M1은 뭐가 좀 다른지... 아래의 방법대로 설치해야 한다고 한다.

 

/bin/bash -c "$(curl -fsSL https://gist.githubusercontent.com/nrubin29/bea5aa83e8dfa91370fe83b62dad6dfa/raw/48f48f7fef21abb308e129a80b3214c2538fc611/homebrew_m1.sh)"

 

이렇게 설치를 하고나니 터미널을 껐다가 들어와도 brew명령어를 인식하기 시작했다.

휴...

맥북도 가뜩이나 어려운데 M1 때문에 문제라니.. M2를 구매할걸 그랬나..^^

어쨌든 일단은 해결된 듯 하니 너무 다행이다.

 

 

 

참고: https://m.blog.naver.com/tnsqo1126/222627852760

'mac > 맥북 개발자 세팅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vi 명령어 정리  (0) 2023.05.17
Oh My Zsh 설치하기  (0) 2023.05.11
Mac OS 현재 shell 확인하기  (0) 2023.05.10
iTerm2 설치 및 커스텀하기  (0) 2023.05.10